[마리북스] 훈민정음 해례본 함께 읽기 > 출판사 신간안내

본문 바로가기

 
학도넷
학교도서관 문화운동 네트위크
학도넷 운동은 평등교육과 문화운동의 시작입니다.
출판사 신간안내

[마리북스] 훈민정음 해례본 함께 읽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마리북스
댓글 0건 조회 92회 작성일 25-01-24 16:38

본문

[서지 사항]

편 저: 김슬옹 | 출판사: 마리북스 | 출간일: 2025년 1월 28일

쪽 수: 320쪽 | 판 형: 152*215㎜ | 가 격: 18,000원

독자대상: 성인, 청소년 | ISBN: 979-11-93270-34-9 (03700)

 

[분류]

국내도서 인문 인문/교양 교양으로 읽는 인문

국내도서 인문 기호학/언어학 언어학의 이해 한국어

국내도서 인문 언어학 국어학 우리말의 기원

국내도서 인문학 기호학/언어학 한국어/한문

국내도서 청소년 청소년 인문/사회

 

[주제어] #훈민정음 #훈민정음 해례본 #세종대왕 #한글 #세계기록유산 #국보제70호 #김슬옹

 

 

[책 소개]

 

훈민정음》 해례본의 정신으로 하나 될 때

가격을 매길 수 없는무가지보의 문화유산

훈민정음》 해례본이제 모두가 함께 읽고 나눠야 한다

 

2025년 올해로 훈민정음 창제 582돌, 반포 579돌을 맞이했다. 훈민정음 창제는 세종대왕이 단독으로 한 것이었지만, 해례본은 정인지·최항·박팽년·신숙주·성삼문·강희안·이개·이선로 등 8명의 학사들과 함께 이뤄낸 집단 지성의 결과물이었다. 그런 만큼 15세기까지 이룩한 각종 학문 성과, 곧 인문학·과학·음악·수학 같은 다양한 지식과 사상이 융합 기술되어 있다. 인류 보편의 문자 사상과 철학이 매우 짜임새 있게 담겨 있다.

또 해례본은 1997년에 유네스코에 첫 번째로 등재된 대한민국 세계 기록 유산이다. 섬세한 문자 해설서이면서 음성학 책이기도 하고 문자학 책이기도 하다. 15세기로 보나 지금으로 보나 최고의 사상과 학문을 담은 책이자 현대 음성학과 문자학 그 이상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런데 이런 가치를 매길 수 없는 무가지보의 문화유산인 해례본이 어떤 책이라는 건 알면서 정작 읽어본 사람은 많지 않다. 원문이 한문이고, 한글 번역도 대개 전문가용 문체라 읽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우리나라 국어국문학과나 국어교육학과에서도 제대로 가르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 책은 이런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이제는 우리 모두 《훈민정음》 해례본을 함께 읽고 나누어야 할 때다! 해례본에 담긴 세종의 정신으로 모두 하나 되어 더욱 도약해야 할 때다!

 

 

훈민정음》 해례본의 권위자 김슬옹 박사의

쉽고 편하게 읽는 해례본 강독

훈민정음 해례본 함께 읽기》 운동의 시작

 

《훈민정음 해례본 함께 읽기》는 해례본 연구의 권위자인 김슬옹 박사의 ‘모두 함께 읽는’ 해례본 강독 책이다. 한글 운동과 한글 연구에 평생을 바쳐온 김슬옹 박사는 《훈민정음》 해례본을 일반인도 누구나 함께 읽고 그 내용을 나눌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이 책을 기획했다.

김슬옹 박사는 2005년에 훈민정음 역사 연구로 첫 번째 박사 학위를, 2010년에는 세종식 사유인 맥락 연구로 두 번째 박사 학위를, 2020년에는 해례본 순수 연구로 세 번째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훈민정음》 해례본은 빼어난 문자 해설서이면서 세종대왕과 8명의 학사가 협력하여 펴낸 인류 문명의 패러다임을 바꾼 지적 유산”임을 강조한다. 그동안 그는 해례본 연구의 권위자답게 해례본 알리기 운동을 열정적으로 펼쳐왔다. 특히 해외 특강과 전 세계인 대상 비대면 강의를 꾸준히 해왔다.

이 책도 그 운동의 일환으로 나왔다. 《훈민정음》 해례본을 매개로 국내외 많은 사람들을 만나면 만날수록 더욱 쉽고 편하게 읽을 수 있는 해례본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기 때문이다. 《훈민정음 해례본 함께 읽기》는 김슬옹 박사의 오랜 해례본 연구의 가장 완성된 최신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동안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는 책은 펴냈지만, 일반 대중이 함께 읽는 《훈민정음》 해례본 입체 강독본은 처음이다. 그는 이 책을 시작으로 《훈민정음 해례본 함께 읽기》 운동을 더욱 널리 펼쳐 나갈 계획이다.

 

 

중학생 이상이면 누구나!

제대로 된 번역문으로 쉽고 재미있게 읽기

 

훈민정음은 중고등학교 때 누구나 배웠다. 하지만 그것은 언해본의 일부로, 해례본은 구경조차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 가장 큰 이유는 해례본이 한문이고 제대로 된 번역문을 만나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

《훈민정음 해례본 함께 읽기》는 원문과 번역문을 함께 배치하되, 어렵게 느껴지는 요소를 배제하고, 번역도 중학생 이상 읽을 수 있도록 최대한 쉽게 하고자 했다. 이렇게 해례본을 읽는 데 장벽이 되는 요소들을 제거하면 글자를 만든 원리나 형태가 매우 과학적이고, 어떤 발음이든 마음대로 표현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심지어 훈민정음을 만든 흥미진진한 배경과 과정까지, 세종의 폭넓은 사유와 해례본의 깊은 철학도 느낄 수 있다.

 

 

훈민정음》 해례본은 어떤 책인가?

시험 준비에서 일반 교양까지

쉽게 파악하는 제자해 원리꼭 알아야 할 훈민정음 이야기

 

《훈민정음》 해례본은 세종대왕이 지은 ‘정음 편’과 세종대왕의 명으로 정인지를 비롯한 집현전 학사들이 풀이한 ‘정음해례 편’으로 나뉜다. 1부 ‘정음 편’에는 ‘세종 서문’과 ‘예의’ 편이 실려 있다. ‘세종 서문’에는 훈민정음을 누가 왜 만들었는지, 그 가치는 무엇인지가 간결하게 쓰여 있다. 즉, 한자로는 제대로 적을 수 없는 우리말에 적합한 새 문자를 만든다는 자주정신, 한자를 잘 모르는 백성도 쉬운 문자로 마음껏 소통할 수 있게 한다는 애민 정신, 그리고 모든 백성이 우리 글자를 쉽게 익혀 편안하게 살게 하려는 실용 정신 등이 담겨 있다. 이어서 나오는 ‘예의’ 편에서는 자음자와 모음자를 만든 원리를 설명한다. 즉, 발음 기관 또는 발음하는 모양을 본떠 자음자 17자를 만들고, 하늘과 땅과 사람을 본떠 모음자 11자를 만든 상형 원리이다.

그리고 세종대왕의 명으로 정인지를 비롯한 집현전 학사 8인이 풀이한 2부 ‘정음해례 편’에서는 정음 편의 내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글자 만든 풀이(제자해), 첫소리글자 풀이(초성해), 가운뎃소리글자 풀이(중성해), 끝소리글자 풀이(종성해), 글자 합치기 풀이(합자해), 낱글자 사용 보기(용자례)가 나온다. 그리고 정인지 서문에서는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 반포한 큰 꿈의 배경과 가치를 자세히 보여준다. 훈민정음을 직접 창제한 세종대왕을 모든 왕을 초월한, 하늘이 내린 성인으로 평가하며 훈민정음의 위대한 꿈을 담았다.

이 책에서는 이러한 해례본의 모든 내용을 제대로 알 수 있게 꼭 알아야 할 《훈민정음》 해례본 이야기, 문자의 창제 원리에서 철학까지 한눈에 펼쳐지게 담았다. 따라서 이 책 한 권이면 시험 준비를 하는 중학생부터 일반 교양으로 읽고자 하는 성인까지, 《훈민정음》 해례본을 쉽고 편하게 만날 수 있을 것이다. 곧 《훈민정음 해례본 함께 읽기》 책, 해례본과 언해본의 원전의 가치를 살린 손바닥 책 세트도 선보일 예정이다. 집집마다 하나씩 보관, 가까운 분들에게 선물용으로도 강추한다.

 

 

하루 한 문장씩,

366개의 문장으로 해례본을 입체적으로 읽기

 

∎왼쪽에는 원문, 오른쪽에는 번역문 수록

왼쪽 면에는 해례본 원문을 사진으로 실어 원형 그대로를 느낄 수 있게 했다. 오른쪽 면에는 원문에 대한 판독문, 강독문, 한자 풀이, 현대말 번역을 입체적으로 편집해 누구나 해례본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했다.

 

∎366문장 체제로 최초 번역과 세종 서문 108자 번역

해례본 원문인 한문을 366개의 문장으로 체계화하여 독자들이 원문의 의미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했다. 또한 언해본의 108자 번역 정신을 살린 세종 서문 108자 번역을 최초로 실현했다.

 

∎누구나 15세기 방식으로 혼자 읽을 수 있게 만든 최초 번역

기존의 모든 번역은 ‘ㄱ, ㄴ, ㄷ’과 같은 자음자를 현대 방식인 ‘기역, 니은, 디귿’ 식으로 읽도록 했다. 이렇게 할 경우 15세기 방식인 ‘기, 니, 디’로 읽을 수 없어 문제가 생긴다. 이 책에서는 초성자는 ‘ㄱ(기), ㄴ(니)’ 식으로 읽고, 종성자는 ‘ㄱ(윽), ㄴ(은), ㄷ(읃)’ 식으로 모든 자음자 읽기를 괄호에 넣어 누구나 혼자서 강독할 수 있게 했다.

 

∎전 세계인이 함께 읽을 수 있도록 영문 번역 수록

2015년 해례본 복간본 해설서에서 번역을 맡았던 조던 드웨거(Jordan Deweger)의 영문 번역판을 실어, 해외 독자들도 훈민정음의 가치를 이해할 수 있게 했다.

 

∎중학생도 읽을 수 있는 쉬운 우리말 번역

이 책에서 가장 중점을 둔 것은 쉬운 우리말 번역이다. 한문 원문의 의미를 최대한 살리면서 중학생 이상의 독자가 읽을 수 있도록 최대한 쉽게 번역했다.

 

∎《훈민정음 해례본 함께 읽기》 운동의 시작

김슬옹 원장은 12차시 ‘훈민정음 해례본 강독’ 비대면 강의로 훈민정음의 보편적 가치를 알리고 있는데, 이 책은 그의 열정을 담은 결과물이다. [강독 강의 문의: tomulto@naver.com(김슬옹)]

 

 

[저자 소개]

 

편저 김슬옹

훈민정음 전공 국어사학자이자 한글 운동가다. 외솔 최현배 선생의 뜻을 잇고자 철도공무원을 거쳐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해 박사 학위(훈민정음 해례본학)를 받았다. 이어서 상명대학교에서 문학 박사(훈민정음·한글역사), 동국대학교에서 국어교육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5년에 간송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는 《훈민정음》 해례본 원본(1446)을 직접 보고 최초 복간본을 해설했다.

훈민정음학과 세종학 연구 업적으로 세종문화상 대통령상(학술)과 외솔상(학술), 연문인상, 대한민국 한류대상 등을 수상했다. 2018년에는 방탄소년단과 함께 한글으뜸지킴이로 뽑혔다.

지금은 세종국어문화원 원장으로 재직하면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객원 교수로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한글학회 이사,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전문위원, 한글닷컴 한글연구소 소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길에서 만나는 한글》 《세종학과 융합 인문학》을 비롯해 우리 말글 관련 저서 115권(72권 공저)과 논문 140여 편, 대중 칼럼 1천여 편을 집필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학도넷
학도넷 │ 고유번호 : 113-82-70787 │ (12542) 경기도 양평군 지평면 다락골길 164-24
TEL : 02-720-7259 │ E-mail : hakdonet@hanmail.net │ 이용약관개인정보처리방침
Copyright © hakdo.net All rights reserved.
모바일버전으로 보기